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인공지능(AI)대전환과 초혁신경제 분야에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해 올해 하반기부터 즉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TF 겸 경제관계장관.
이재명 정부가 기업주도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띄웁니다.
기업·공공 전 부문의 인공지능(AI)대전환을 위한 과제 15개, 첨단소재부품·기후에너지·미래대응 중심의 기초혁신경제 과제 15개씩입니다.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해 잠재성장률 3%.
우리 경제를 AI와 초혁신 경제로 전환해 잠재성장률 3% 달성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게 핵심입니다.
특히 AI대전환은 인구 충격에 따른 성장 하락을 반전시킬 유일한 돌파구라고 강조했습니다.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발표…AI대전환15대 프로젝트로 기술선도 성장 "기존 추격경제로는 안돼…AI대전환, 성장 하락세 반전시킬 유일한 돌파구"올해 하반기부터 AI대전환선도프로젝트 본격 추진로봇·자동차·가전·반도체 등 7대 제조업에 AI 관련 패키지 지원.
[앵커] 대내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AI 중심의대전환을 통해 우리 경제 반등을 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5년 내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국민성장펀드 등으로 뒷받침하겠다는 계획입니다.
AI대전환15대 선도프로젝트/그래픽=윤선정 정부가 'AI(인공지능)대전환'을 추진한다.
AI대전환이 인구충격 등에 따른 성장 하락을 반전시킬 유일한 돌파구란 판단에서다.
기업과 공공, 국민 등 분야에서 '15대 선도프로젝트'를 선정, 올해 하반기부터 즉시 추진.
정부가 한국경제의 구조적 성장 둔화를 타개하기 위해 '인공지능(AI)대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공식화했다.
정부는 AI를 본격 도입할 경우 생산성을 끌어올려 잠재성장률 3%를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기업·공공은 물론,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 기획재정부 정부가 기업·공공 부문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AI)대전환'을 본격 추진합니다.
피지컬 AI 1등, 휴머노이드 3대 강국 도입 등의 목표도 세웠습니다.
누구나 AI를 한글처럼 쉽게 쓰는 'AI 한글화'를 향해 교육에도 나섭니다.
정부가 AI대전환과 초혁신경제 프로젝트를 앞세워 한국 경제 반등을 꾀합니다.
향후 5년 내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집중 지원하고, 국민성장펀드 등 민관 합동 재원으로 100조 원 이상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경제.
AI가 경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 분야의 활용을 촉진, 기반을 조성하고 기술대전환도 동시 추진한다는 방침.